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28

BMW 840d xdrive grancoupe 구매 후 11개월간의 기록 2020년 1월 15일, 그러니까 개인적으로 매우 경사스런 일이 일어났던 날이기도 하고, 그에 맞춰 스스로에게 큰 선물을 하겠다고 다짐해서 큰 맘 먹고 감히 바라보지도 못했던 bmw의 플래그십 세단인 8시리즈를 사기로 했다. 원래는 bmw 차량에 대해 '예쁘다'라는 생각을 해본 적이 없는데, 과거 3년 간 320d를 타면서 점점 비엠의 매력에 빠져들었다. 8시리즈는 출시 전, 컨셉카를 보자마자 '아, 이 차는 꼭 진짜 갖고싶다'라는 마음이 들었던 두 번째 드림카이자, 지금까지 구매했던 차량들 중 두 번째 신차였다. 이 차량의 공급 물량이 상당히 적기 때문에 몇 달 걸릴 것으로 예상했으나 운이 좋아 원하는 색상의 재고가 있었고, 생각보다 어렵지 않게 구매할 수 있었다. 처음에는 320d 를 타다보니 가솔린.. 2020. 12. 14.
디렉토리 용량 구하기 du /path/to/calc 2020. 12. 10.
Fabric 을 이용하여 쉽고 편한 배포하기 파이썬 프로젝트를 배포할 때 우분투 서버에 직접 접속하여 git pull, 서비스 종료, 서비스 시작 등의 커맨드를 일일이 치는 것보다, 뭔가 스크립트 하나로 쉽게 배포하면 얼마나 좋을까를 고민할 때 쓸 수 있는 파이썬 패키지로 fabric이 있다. fabric을 사용하면 서버에 ssh 접속을 하지 않아도, 스크립트가 알아서 ssh 접속을 한 뒤 미리 정의해둔 명령어들을 자동으로 입력해준다. from fabric.api import * env.roledefs = { 'dev': ['user@dev-example.com',], 'release' : ['user@example.com',] } @roles('dev') def dev(): deploy("dev") @roles('release') def rele.. 2020. 12. 10.
Hyperledger Study (2) - Hyperledger Fabric with Composer Hyperledger Composer hyperledger composer(이하 컴포저)는 초보자가 패브릭을 좀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툴이다. 패브릭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어려운 개념 습득들이 필요하고, 각 요소마다 각종 명령어를 구사해야 하기 때문에, 시작하기가 어려운 편인데 패브릭을 활용하면 조금 더 쉽게 hyperledger 구성을 할 수 있다. 컴포저 튜토리얼 링크: https://hyperledger.github.io/composer/latest/tutorials/developer-tutorial 튜토리얼은 Window PC에서 VMWare를 활용하여 우분투 16.04(hyperledger fabric 추천 OS) 에서 진행했다. Installation Install for Pre-.. 2020. 12. 10.
Hyperledger Study (1) - Intro. 비트코인, 이더리움이 한창 유행하고 있을 때 리눅스 파운데이션에서 Hyperledger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인텔, IBM등 전 세계 IT 업계의 큰 손들도 이 프로젝트에 전념하고 있는데, Hyperledger 프로젝트의 목표는 블록체인 기술을 각종 분야(농업, 건강, 의료, 무역 등)에 널리 활용하는 것이다. 오픈소스 프로젝트이니만큼 아래 그림처럼 프레임워크도 가지각색인데, 가장 널리 이용되는 프레임워크는 Fabric(패브릭) 으로, Hyperledger의 기본적인 기능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가장 제너럴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Hyperledger 는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암호화폐가 기반이 되는 퍼블릭 블록체인과는 엄연히 다른데, 가장 큰 특징으로는 암호화폐를 사용하지 않는다. (억지.. 2020. 12. 10.
uWSGI listen queue of socket ... full !!! (100/100) Ubuntu 16.04 에서 만든 uwsgi 서비스가 돌연 *** uWSGI listen queue of socket ":5050" (fd: 6) full !!! (101/100) *** 와 같은 메시지를 뿜으며 모든 요청이 블락되는 경우가 있다. (101/100) 로 미루어보아, 현재 큐 101 가 최대 큐 100 사이즈를 초과하면서 생긴 문제다. 최대 큐 사이즈는 uwsgi 실행시 --listen {큐사이즈} 로 설정하여 늘려줄 수 있다. 그러나 net.core.somaxconn 값보다 큐 사이즈를 크게 할 수 없으므로, 우선 이 값의 맥스 커넥션부터 키운다. sudo sysctl net.core.somaxconn=1024 그 다음 uwsgi 실행을 할 때, /usr/local/bin/uwsgi --.. 2020. 12. 10.
반응형